쉽게 쓰는 투자 이야기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법 2] 손익/ROE/주문비용 계산, 증거금 (개시, 유지, 교차, 격리), 청산 vs 표시가격, 보험기금 vs 자동자산청산 본문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법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법 2] 손익/ROE/주문비용 계산, 증거금 (개시, 유지, 교차, 격리), 청산 vs 표시가격, 보험기금 vs 자동자산청산
electronic trading 2022. 5. 21. 07:44
이전 글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법 1]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6.손익 계산
6.1. 손익 계산
- 공식= (1/진입가격 - 1/거래가격) * 수량
- 예시) 가격= 1000 USD, 수량= 1000, 현재가=1500, 표시가격=1250 일 때,
-실현손익= (1/1000 - 1/1500) * 1000 = 0.33 XBT
-미실현손익= (1/1000 - 1/1250) * 1000 = 0.2 XBT
6.2. ROE 계산
-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의 수익이 발생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
=포지션에 할당된 증거금 대비 수익률
=손익% * 레버리지 - 예) 수량=300, 진입가격= 45000, 종료가격= 57000, 레버리지= 100 (교차)
=>ROE= 손익 %* 레버리지, where 손익% = 100 (손익/ 포지션 가치)
=>100 [수량 * (1/ 진입가격 - 1/ 종료가격)] / [수량 * 1/진입가격)]
=>100 [300 * (1/45000 - 1/57000)] / [300 * 1/45000)]
=>100 [300 * (0.00002222 - 0.00001754)] / [300 * 0.00002222]
=>21.0621% - 거래소마다 확인 방법은 다르나 일반적으로 포지션 보유 시:
-미실현손익에 커서를 올리는 경우 "현재가"로 포지션 종료 시 ROE
-미실현손익에 커서를 올리지 않는 경우 "표시가격"으로 포지션 종료 시 ROE
6.3. 주문비용 계산 (출처: 바이비트 블로그)
- 주문 비용의 3요소= 개시 증거금 + 진입 테이커 수수료 + 종료 테이커 수수료
1)개시증거금= (1/레버리지) * 주문가치 * 거래승수
2)진입 테이커 수수료= 주문가치 * 테이커 수수료
3)종료 테이커 수수료= 파산가치 * 테이커 수수료
파산가격 = 개시 마진을 모두 소진하게 하는 가격
=>거래손익 = -개시마진
=>수량 * (1/ 진입가격 - 1/ 파산가격) = -(주문가치 * 1/레버리지) - Gross Open Premium (주문 프리미엄) = 매수와 매도 포지션의 주문비용이 다른 경우
-매수: 지정가 > 표시가격 => 표시가격과 지정가의 차이만큼 주문 프리미엄 지불
-매도: 표시가격 > 지정가 => 표시가격과 지정가의 차이만큼 주문 프리미엄 지불
=>GOP
= (표시가격 - 매수 지정가) * 수량
= (매도 지정가 - 표시가격) * 수량
=>GOP를 지불해야 하는 이유: 포지션을 열자마자 청산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 이를 낮추기 위해 프리미엄 지불
6.4. 주문가치 계산
- 주문가치 = 주문가격 * 수량 * 거래승수 (각 상품마다 거래승수가 다른 점 유의)
=1/XBTUSD * 수량 * 거래승수
7.증거금
7.1. 레버리지: 거래자 관점에서 선물과 현물을 나누는 가장 큰 차이.
- 자본을 차입하여 추가적인 자본을 거래에 활용할 수 있음. 따라서 계약 가치의 일부만을 증거금으로 예치하더라도 해당 계약 가치만큼의 포지션을 보유할 수 있음. 따라서 증거금 대비 수익 극대화 가능.
- 예시: 레버리지의 강도에 따라 증거금 예치액 결정.
레버리지 10배 사용하여 1 XBT 가치의 포지션 보유 시, 필요한 증거금은? 0.1 XBT
레버리지 100배 사용하여 1 XBT 가치의 포지션 보유 시, 필요한 증거금은? 0.01 XBT - 유의사항: 레버리지가 높다고 실현손익이 해당 배수만큼 증가하는 것이 아님
- 유효레버리지: 레버리지의 평균이 아닌, 추가 매수 시 추가되는 증거금 + 잔여 증거금을 포지션 가치에서 나눈 값.
=포지션 가치/ 포지션 마진 (포지션 개시증거금 + 미실현손익)
예) 1만원 + 5만원으로 총 10만원 어치의 포지션을 보유하게될 경우, 유효레버리지는 10/6 = 1.6667배
7.2. 개시증거금 (출처: 페멕스 블로그)
- 포지션을 개시하기 위해 필요한 증거금
- 공식= 개시증거금% * 주문가치 * 거래승수
=1/ 레버리지 * 주문가치 * 거래승수
7.3. 유지증거금
- 포지션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증거금
- 공식= 유지증거금 + 종료 테이커 수수료 + 펀딩비율
- 공식= 유지증거금 * 주문가치 * 거래승수
7.4. 격리마진
- 포지션 증거금 <-> 지갑 잔고 격리
- 수동으로 증거금 증감
- 장점: 리스크 관리, 단점: 청산 비교적 쉬움
7.5. 교차마진
- 포지션 증거금 <-> 지갑 잔고 교차 (실현손익)
vs. 포트폴리오 마진: 포지션 증거금 <-> 포지션 증거금 (미실현손익), 지갑 잔고 (실현손익) 교차 - 자동으로 증거금 충당
- 장점: 청산 방지, 단점: 청산 시 모든 걸 다 잃을 수 있음
8.청산
8.1. 청산의 최소화
- 각 거래소는 위험 한도, 공정가격표시 등의 장치를 통해 청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
-위험 한도: 대규모 포지션에 적합한 개시 마진 확보
-공정가격표시: 높은 레버리지 상품 거래시 불필요한 처산 방지 (시장 조작, 유동성 x, 표시가격이 지수가격에 따라 변동)
8.2. 청산 발생 시점:
- 유지 증거금을 유지할 수 없는 시점
- 표시가격이 청산가격에 도달하는 시점
-롱 포지션의 경우, 표시가격이 청산가격을 상회
-숏 포지션의 경우, 표시가격이 청산가격을 하회
8.2. 표시가격 (출처: 비트멕스 블로그)
- 청산의 기준= 표시가격
- 공정가격표시: 높은 레버리지 상품 거래시 불필요한 청산 방지 (시장 조작, 유동성 x, 표시가격이 지수가격에 따라 변동)
=>표시가격을 현재가가 아닌 공정가격으로 설정.
-표시가격 (공정가격)= 지수가격 * (1 + 펀딩 베이시스 비율)
-펀딩 베이시스 비율= 펀딩 비율 * (다음 펀딩/ 펀딩 간격)
8.3. 청산가격 공식 (출처: 바이비트 블로그, MCS 거래소)
- 격리, 롱: 청산 = 진입/ (1 + IM - MM)
격리, 숏: 청산 = 진입/ (1 - IM + MM) - 교차, 롱: 수량 * -(1/진입 - 1/청산) = 마진 밸런스 - (MM * 포지션 가치)
교차, 숏: 수량 * -(1/청산 - 1/진입) = 마진 밸런스 - (MM * 포지션 가치) - 예시)
1)손익 계산식 활용, 개시 마진을 모두 잃게 하는 값 (파산가격) 구하기
수량 (1/진입 - 1/파산) = -개시마진
2)MM = 0.5% + 거래 테이커 수수료 + 펀딩비율
=0.5% + (0.075% * 파산가치) + (0.01% * 파산가치)
3)수량 (1/진입 - 1/청산) = -(IM - MM)
9.마진 용어집
- 지갑 잔고 = 입금 - 출금 + 실현손익
- 미실현손익
- 증거금 잔고 (총 거래 자본)= 지갑잔고 + 미실현손익
- 포지션 증거금 (포지션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자본)= 개시증거금 + 미실현손익
- 주문 증거금 (미체결 주문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자본)
- 사용 가능 잔고 (새로운 포지션에 사용 가능한 증거금)
= 증거금 잔고 - 주문 증거금 - 포지션 증거금
=(지갑 잔고 + 미실현손익) - 주문 증거금 - (개시 증거금 + 미실현손익)
10. 보험기금 (출처: 바이비트 블로그)
- 절차: 청산 발생 => 포지션은 거래소로 전달 => 포지션을 양도할 다른 트레이더 찾기
-파산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포지션이 양도되는 경우: 잉여금은 보험기금에 입금
-파산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포지션이 양도되는 경우: 손실금을 보험기금에서 충당
(파산가격= 개시마진을 모두 소진하게 하는 가격)
11. 자동자산청산
- CME와 같은 전통 거래소는 최대 5개의 레이어로 승자의 예상 수익을 보장 (출처: 비트멕스 블로그)
-거래자의 계좌 잔고가 음수인 경우, 브로커는 법적 절차를 통해 자금 제공 요구/ 강제 파산 신청 가능 (거래자 변제)
-기존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브로커/ 청산 회원 (투자은행)을 통해서만 시장에 접근 가능. 거래자가 부채 변제 못하면 브로커가 변제 (브로커 변제)
-CCP는 청산회원의 채무불이행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보험기금/ 보험 상품 보유 (CCP가 변제)
-브로커도, CCP도 변제를 하지 못하는 경우, 타 청산 회원이 자금 제공 (CCP의 타 청산회원이 변제) - 암호화폐 거래소는 매수자와 매도자 매칭을 해주는 P2P 거래소, 제로섬 게임에서 패자가 승자에게 지불해야할 충분한 마진을 보유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음 (거래상대방 리스크)
- 1차 방어인 보험기금의 소진된다면 승자의 수익 보장이 불가
2차 방어로 자동자산청산: 승자의 수익 보장을 위해 수익 포지션 중 미실현수익이 높고, 레버리지가 높은 포지션을 사전에 종료하여 수익금 락업 진행. - 자동자산청산 진행 절차 (출처: 바이비트 블로그)
-미실현손익, 레버리지에 따라 순위 결정. 수익이 더 많을수록 자동자산청산 진행 후, 다시 새로운 포지션 보유 가능.
-자동자산청산 순위를 낮추기 위해서는, 미실현손익이 높은 포지션을 종료하거나, 레버리지를 감소시킬 것.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 가상화폐 거래소 이용법 6] 잔고가 0 이어서 펀딩비를 못내면 청산 되나요? (1) | 2022.07.01 |
---|---|
[암호화폐/ 가상화폐 거래소 이용법 5] 선형, 비선형, 콴토 계약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2) | 2022.06.30 |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법 4] 팬텀 지갑을 통해 솔라나 디파이 거래소 이용하기 (0) | 2022.06.10 |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법 3] dYdX 거래소에서 이더리움 레버리지 수익내기 (0) | 2022.06.10 |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법 1] 현물 vs 선물, 계약의 유형(선형/ 비선형/ 콴토 계약), 주문 유형 (시장가, 주문가, 스탑, 이익실현), 수수료 (테이커, 메이커, 펀딩) (0) | 2022.05.2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