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쓰는 투자 이야기
[암호화폐 프로덕트] 비트멕스 UX/UI 본문
오늘은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 중 OG(원조 갱스터)로 불리우는 최초의 무기한 계약 런칭 해외 거래소 비트멕스의 UX/UI를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웹에서 들어가면 보이는 비트멕스 테스트넷 화면이에요. 테스트넷은 쉽게 말해 모의투자가 가능한 환경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실제 현금을 사용하지 않고도 각종 기능이 전략대로 작동되는지 확인해볼 수 있어요.
1)전면부 스냅샷
-비트멕스 테스트넷 스냅샷 전체를 한번 스크린샷 해보았어요. 뷰잉 모드는 세가지로 제공되는데, 싱글뷰, 맞춤설정, 멀티뷰 이렇게 있네요.
- 싱글뷰: 가장 주요한 기능들만 모아놓은 싱글뷰.
상단에는 매매할 수 있는 상품군이 배치되어 있고, 왼편에는 주문을 제출할 수 있고, 중간에는 현재 시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호가창, 차트, 뎁스 차트, 최근 거래, 그리고 포지션 패널이 확인됩니다.
- 맞춤설정 뷰: 아래와 같이 상품군 오른편 바로 아래쪽을 보시면 "Customise" 기능이 있었네요. 해당 버튼을 누르면, 호가창, 뎁스차트, 가격 차트, 최근 거래, 보유 주문, 포지션, 증거금 현황, 상품 리스트를 보이거나 안 보이도록 하는 토글 버튼에 체크할 수 있어요.


- 멀티뷰: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정보는 다 확인해보고 싶은 분들이 사용하시는 뷰잉 모드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약 5개 정도 영역으로 세분화해봤는데 어떻게 나누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아요. 전면부 상단(초록색), 전면부 좌측(노란색), 중간 부분(빨간색), 전면부 하단 (파란색), 그 아래 상품 리스트까지 나눠봤어요.
2)전면부 상단
-아래와 같이 우선 왼쪽 압정 모양을 클릭하면 상품 하나를 고정시켜 해당 상품의 시세를 확인할 수 있어요. XBTUSD를 고정하면, 해당 상품의 모든 종류 - XBTUSD (비트코인 무기한 계약), XBTEUR (유로화 선물), XBTZ21 (비트코인 12월 만기 분기물), XBTV21 (비트코인 10월 만기 월물), XBTH22 (비트코인 3월 만기 분기물)의 가격이 확인됩니다.
-또 다른 쪽에서는 XBTUSD 상품이 기초로 하는 지수 가격 .BXBT의 현재 시세를 확인하실 수 있고, 무기한 계약의 메커니즘인 펀딩 비율 및 펀딩 시간, 그리고 현재 시각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위에 빨간색 박스 처리 해둔 부분은 눌러보니, 비트멕스가 제공하는 모든 상품의 가격을 모두 열람할 수 있게 해두었네요. 지수가격은 XBT, ETH, BVOL24H (24시간 변동성 지수) 정도 확인할 수 있긴한데, 아래 스냅샷과 같이 보기에는 너무 작아서 과감하게 삭제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물론 플랫폼의 모든 기능들은 다 프로덕트 팀에서 의도하고 만든 기능들이겠지만요.
3)전면부 좌측 사이드바
- Place Order(주문 제출)
-계산기: 손익 계산 기능
손익 계산 기능이 이 계산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능이라고 생각되는데, 우선 포지션 방향을 롱 혹은 숏으로 구축할 것인지 선택하고, 좌측에서 희망하시는 팩터들을 기입하실 수 있어요. 저는 수량 100, 진입가격 41691.5, 거래가격 41691.5, 레버리지 100으로 넣어봤을 때, 우측에 결과값들이 산출되는데요.
우측 결과값을 하나씩 살펴보면, 첫번째로는 사용자가 지불해야 할 증거금 요건으로 2640이 확인되네요. 어떻게 나온 값일까요?
우선 비트멕스는 타 주요 해외 거래소와는 다르게 비트코인으로 증거금을 지불하고, 모든 손익의 계산도 비트코인 기준으로 계산되어서, 이 가상의 포지션도 계산을 해보자면, 1/41691.5 * 수량 100 * 비트코인 개시증거금율인 1% = 0.00002640 XBT = 2640 XBt가 확인돼요. 증거금은 시장에서 비트코인 가격의 움직임에 따라 약간의 변화가 있는 점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고.. 아래 진입가치를 구해보겠습니다.
진입가치의 공식은 진입가격 * 수량이에요. 그래서 USD로 호가된 41691.5를 비트코인 기준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1/41691.5 * 수량 100= 0.00239857 XBT = 239857 XBt가 확인되고요, 거래가치도 동일하게 거래가격 * 수량으로 계산하는 것이라 동일한 값 확인되는 점 공유드리고... 이들이 마이너스로 값이 산출되는 이유는 비트멕스 XBTUSD 상품의 특성인 '인버스'로 나타내기 위함이고요. 손익, 손익률, ROE는 여기서 모두 다 0으로 정확히 표기되었습니다.
-계산기: 타겟 가격 기능
먼저 포지션 방향을 롱 혹은 숏으로 구축할 것인지 선택하고, 레버리지 수준을 선택하고, 현재 특정 진입가격에서 ROE 수익률 100%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타겟 가격에 도달해야 하는지를 볼 수 있는 기능이에요.
아래와 같이 예시를 들어보면, 레버리지 100배를 사용해서, 진입가격 41840.5에, ROE 100% 수익률 달성이 목적이라면?
이에 대한 결과값은 우측에 정리해주네요. "진입가격이 41840.5에, ROE 100% 수익률 달성을 위해서는 타겟 가격이 42263.5 이어야 하고, 이 때 손익률은 1%입니다."라고 말해주고 있어요. 얼핏 보시기에 손익률은 1%인데, ROE는 100%? 하시면서 잘못 계산이 되었나 싶을수도 있지만, 쉽게 말해 손익률은 레버리지를 포함하지 않은 수익률, ROE는 레버리지를 반영한 수익률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하실 것 같아요. 증명해보자면 손익률= 42263.5/41840.5= 1% 증가한 것으로 맞게 확인되고요, ROE= 손익률 * 레버리지 = 42263.5/41840.5 * 100 = 100%으로 확인되어요.
-계산기: 청산가격 계산 기능
계산기의 마지막 주요 기능으로는 청산가격 계산이 가능한데요. 위 두 계산기와 동일하게 먼저 방향을 롱 혹은 숏으로 구축 후, 증거금을 교차 혹은 격리로 사용할 것인지를 선택하시면 되고요. 좌측 입력값들은 교차 증거금을 사용하는지, 격리 증거금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교차는 포지션의 청산을 방지하기 위해 증거금을 지갑에서 자동으로 충당할 수 있는 개념이고, 격리는 각 포지션별로 할당된 증거금만 사용하게 되는 증거금 기준이기 때문이에요.
이에 따라 교차에서는 수량 100, 진입가격 41840.5, 현재 지갑 잔고 2009594를 입력해봤을 때, 우측 결과값으로는 제가 보유한 현재 XBTUSD 포지션 수량인 1400, 여기에 +100의 롱 포지션을 추가할 것이니 1500이 결과 수량, 그리고 이렇게 산출되는 청산가격은 26678.0으로 확인되었네요.
이에 반에 격리에서는 수량 100, 진입가격 41840.5, 레버리지 100배를 입력하면, 현재 수량, 결과 수량은 이전과 동일하지만, 청산가격에 큰 차이가 발생했어요. 41374.0이 청산가격이어서 격리 증거금을 사용하면 굉장히 청산가격에 여유가 없게 되어, 청산의 확률은 조금의 등락에도 크게 올라갈 수 있어요. 이렇게 계산기의 주요 기능 세가지를 같이 보게되었네요.


-"계산기" 아이콘 옆의 "설정" 아이콘을 누르면 "사이드바 옵션"이라고 확인되어요.
그 아래는 플러스/ 마이너스 버튼 설정, 계산기, 사이드바 이동, 사이드바 숨김 기능이 있네요.


플러스 마이너스 버튼 설정을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여요. 간단히 말해 계약 수량은 -10000, -1000, +1000, +10000 씩, 그리고 가격은 해당 상품이 움직일 수 있는 최소한의 틱인 -0.5, +0.5, 그리고 그보다 더 아래 혹은 위로 주문 제출을 원하는 사용자를 위해 -12.5, +12.5까지 만들어 놨네요. 하나씩 클릭해보니까 확실한 유용성이 있는 것 같아요. 특히 수량이나 가격을 자주 변경하시면서 주문 제출하시는 분들은 키보드에서 특정 숫자를 기입하고, 또 다른 손으로 마우스를 한번 클릭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타이밍상의 문제가 있었을 것 같은데, 이건 마우스 클릭으로 모두 해결되는 내용이라 한 템포 빠른 주문이 나갈 수 있다는 확실한 장점이 있어요.
사이드바 이동은 우측으로 하게 되어있네요. 뭔가 굉장히 달라진 새로운 룩 같아요. 그렇지만 좌측에 있는 것이 더 직관적이라고 생각되어지네요.
이제 다시 "Place Order" 화면으로 돌아가서, 계산기와 설정 아이콘의 아랫단인 주문의 유형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해요.
-주문 유형: 지정가 주문
아래 보시는 화면은 지정가 주문이에요. 지정가 주문은 매수자가 희망하는 매수 가격의 상한선을 설정하고, 매도자가 희망하는 매도 가격의 하한선을 설정한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조금 더 풀어서 설명드리면, 상품을 매수할 때 '이 정도 가격까지는 괜찮은데, 이것보다 싸게 사면 더 좋고' 이런 느낌이고요, 상품을 매도할 때 '이 정도 가격까지는 괜찮은데, 이것보다 비싸게 팔면 더 좋고'를 반영해주는 주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주문 유형: 시장가 주문
오른편에는 시장가 주문 화면을 공유드려요. 확실한 차이는 시장가 주문은 가격 입력란이 없다라고 보시면 되는데 이유가 뭘까요?
네, 맞아요. 시장가 주문은 '시장에 형성되어 있는 가격에 제출한 주문을 바로 체결시키겠다'라는 의지를 담고 있어서, 가격은 따로 설정하지 않고, 수량만 입력하도록 되어 있어요.
또 하나의 차이점을 발견하셨나요? 바로 왼편 지정가 주문은 "Post Only" (포스트 온리), "Hidden" (비공개), "Reduce Only" (리듀스 온리) 주문 제출 시에도 사용되는 주문인데요. 포스트 온리는 '반드시 호가를 게시하겠다'라는 의미이므로, 지정가 제출을 보장하는 주문이고, 시장가에 바로 체결될 가능성이 있는 순간 주문은 취소됩니다. 비공개 주문의 특성은 호가창에 등장하지 않는 주문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감춘다는 장점을 제공하는 대신, 무조건 테이커 수수료를 지불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리듀스 온리는 보유 포지션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의도의 주문입니다. 이에 따라 보유 포지션의 증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는 취소됩니다. 리듀스 온리가 선택된 주문은 보유 포지션을 감소시키기만을 위한 용도로 인식하므로, 신규 주문에 해당하는 증거금 체크를 따로 하지 않습니다.
이외에도 "Cost"(주문비용), "Order Value" (주문가치), "Available Balance" (사용가능잔고)가 확인되네요. 하나씩 정리드려 보겠습니다.
-주문 비용은 포지션 개시에 필요한 최소한 증거금으로, 개시증거금 + 테이커 수수료*2 정도로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1/100* 1/41840.5 * 100] * [0.05% *2] =0.00002390 XBT= 2390XBt 정도로 산출되어, 2630XBt와 약간의 오차는 있네요.
-주문가치는 1/41840.5*100= 0.00239003 XBT = 239003XBt
-사용가능잔고는 증거금 설명드릴 때 한번에 같이 설명드릴게요.
-Time in Force(시간 제한): GoodTillCancel (GTC), ImmediateOrCancel (IOC), FillOrKill (FOK)은 모든 주문에 적용되는 시간 제한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GTC는 사용자가 취소하기 전 주문은 제출까지 살아있음, IOC는 주문 즉시 체결 후 잔량 취소, FOK는 주문 즉시 체결 후 전량 취소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주문 유형: 스탑 주문
미발동->발동 (호가창 진입, 발동가= 현재가, 지수가격, 표시가격 중 택1) -> 시장가로 체결되는 주문입니다.
-주문 유형: 스탑 지정가 주문
미발동->발동 (호가창 진입, 발동가= 현재가, 지수가격, 표시가격 중 택1) -> 지정가로 체결되는 주문입니다.
-주문 유형: 추적 손절매 주문
시장가로부터 +- 만큼의 숫자를 지정해, 그 차이가 생길 때 미리 정해놓은 수량만큼 주문이 제출됩니다. 손절 라인 설정에 유용합니다.



-Mark, Last, Index는 각각 표시가격, 현재가격, 지수가격에서 스탑 주문을 제출하겠다고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Close on Trigger"는 발동 시 종료로, 리듀스 온리와 동일하게 새로운 주문으로 인식하지 않아 증거금 체크를 따로 하지 않습니다.
-주문 유형: 이익 실현 지정가
- 스탑 주문과 유사하나 수익권에 있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 미발동 -> 발동 (호가창 진입, 발동가= 현재가, 지수가격, 표시가격 중 택1) -> 지정가 체결
-주문 유형: 이익 실현 시장가
- 스탑 주문과 유사하나 수익권에 있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 미발동 -> 발동 (호가창 진입, 발동가= 현재가, 지수가격, 표시가격 중 택1) -> 시장가 체결


- Your Position (보유 포지션): 현재 보유 중인 포지션을 나타내는 창입니다.
-저는 현재 XBTUSD 상품을 1400개 보유하고 있으며, ROE가 -1410.11%일 때 스냅샷을 촬영하였고, 진입가격은 47561.5208, 청산가격은 26179.5로 확인되네요. 청산가격의 계산은 위에 언급한 바 있습니다.
-레버리지 바: 유효 레버리지를 나타냅니다.
"유효 레버리지 = 포지션 가치/ 포지션 증거금"의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포지션 증거금은 개시증거금+ 미실현손익이므로 미실현손익의 증감에 따라 유효레버리지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 바를 Cross에서부터 1x, 2x, 3x, 5x, 10x, 25x, 50x, 100x로 드래그하며 각 포지션에 대해 사용되는 레버리지 수준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혹은 우측 연필 그림을 클릭하여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리스크 제한: 각 상품에 대해 거래소 차원의 리스크 관리 시스템으로, 리스크 제한을 적용합니다. 주문의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 넘어가면 추가적인 주문을 제출하는 데에는 추가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Contract Detail (계약 세부사항)
-현재가, 지수가, 표시가, ADL 바 (보험기금이 소진된다면 승자의 수익 보장이 불가하므로, 승자의 수익 보장을 위해 수익 포지션 중 미실현수익이 높고 레버리지가 높은 포지션을 사전에 종료하는 기능입니다. 5개 바에 색이 더 많이 칠해져 있을수록 해당 포지션은 청산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가격 출처, 비트멕스 지수 가격, 24시간 거래량, 미결제약정, 펀딩비율, 계약 가치 (1/호가 * 수량 * 거래승수), 랏사이즈 (기본 자산 수량), 최소 거래 수량까지 확인됩니다.
'암호화폐 프로덕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 프로덕트] 비트멕스 UX/UI 2 (0) | 2022.06.18 |
---|---|
[암호화폐 프로덕트] 제품 기획의 필독서 인스파이어드 (0) | 2022.06.17 |
[암호화폐 프로덕트] NFT(대체불가능토큰) 관련 해외 거래소 트렌드 (1) | 2022.06.16 |
[암호화폐 프로덕트] 거래소의 UX/UI (0) | 2022.06.12 |
[암호화폐 프로덕트] 코빗 PO 경력 저자의 <프로덕트 오너>,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별 특징 (웹 서비스) (0) | 2022.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