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쉽게 쓰는 투자 이야기

[암호화폐 프로덕트] 거래소의 UX/UI 본문

암호화폐 프로덕트

[암호화폐 프로덕트] 거래소의 UX/UI

electronic trading 2022. 6. 12. 08:47

 

 

투자은행들 수장이 나와 본인들이 테크 기업이라고 주장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2017년 로이드 블랭크페인 대표의 연설은 아직도 업계에서 회자되고 있죠.


We are a technology firm. We are a platform.


물론 IB 부서(인수합병, ECM, DCM)나 대체투자 부서(프로젝트 파이낸스, PE/ VC) 영역에서의 IT의 중요도는 얼마나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세일즈 트레이딩에서는 IT가 적용되지 않은 부분을 찾는 것이 오히려 빠를 정도로 많이 진행된 상태입니다. 말로만이 아니라, 웹과 모바일 앱 형식의 거래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하기 위해 프로덕트, UI/UX, 개발자들이 협업하는 모습은 영락없는 IT 회사 같습니다. 이에 따라 영업 직군에도 요구되는 역량은 플랫폼에 대한 고객의 피드백 취합 및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본인 회사의 서비스를 알고 고객의 니즈를 이를 통해 충족시켜주는 것이 주요해진 느낌입니다. 그래서 최근 읽었던 블로그들 정리해보았습니다.

1)프로덕트 매니저 직군 정리해주신 좋은 블로그: https://m.blog.naver.com/kusakang82/221935730246

 

[ PM ]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란?

1. 프로덕트 매니저(Product Manager, PM)는 무슨 일을 하는가? PM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상품 전...

blog.naver.com

제품의 생산 과정

  • 아이디어-> 시제품-> 제품 개발-> 출시

제품 요구조건 문서 (Product Requirement Document)

  • 제품은 기능의 집합: 어떤 화면에서 어떤 버튼을 눌렀을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는 UX 디자이너가 정의하지만, 그 안에 어떤 기능이 들어가야할지 정의하는 것은 PM. 각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고, 이 기능들을 개발자 및 다른 조직과 공유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제품 요구조건 문서.
  • 제품 요구조건 문서의 구성: Requirement (요구 조건), Problem(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Use Case (사용 예시), Background (배경), Dependencies (다른 요구조건과의 연관성), Priority (우선순위), Release Version Number (제품 버전)
  • 요구 조건을 찾아내는 경로: 고객 피드백 (User Voice), 서베이, 웹 로그/Usage 분석, 직접 관찰, 컨조인트 분석), 경쟁 제품 분석, 조직 내부 제안, 직관

PM은 프로덕트의 CEO

  • 누구보다 소비자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비즈니스를 손바닥 보듯 잘 알고 있어야 한다.
  • 산업 전반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트렌드, 기술, 소비자 행동과 예측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야 한다. 책을 쓸 수 있을만큼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이탈자나 구독자 수를 즉각 답할 수 있어야 한다. 알아야할 데이터 중 큰 부분은 '소비자들이 프로덕트를 가지고 무엇을 하는가'이다. 대부분의 PM들은 하루를 시작할 때 30분 정도를 투자해 지난 24시간의 데이터를 살펴본다. 그들이 보는 지표는 매출과 사용량, 소비자 만족도 분석, 그리고 A/B 테스트 결과 등이다. 

2)위대한 제품이란? https://www.andrewahn.co/product/great-products/

 

위대한 제품의 특성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괜찮은 수 많은 제품 중에서 진정 위대한 제품을 판별할 수 있는 특성이 무엇일까요?’  내가 회사에 제품 담당자 인터뷰를 50번 이상 하면서 한 번도 빼먹지 않고 지원

www.andrewahn.co

  • 기본적인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문제 없이 제공해야 한다.
  • 제품의 성능이 사용자의 기대치를 월등히 뛰어 넘는다.
  • 사용자가 기대하지 않은 부분까지 배려하여 즐거운 사용자 경험을 전달한다.
  • 사용자의 기분을 좋게 만든다. 기분이 좋으면 그 제품을 계속 사용하게 되고, 또 다른 사람들에게 해당 제품에 대해 자연스럽게 말하고 싶게 된다.
  • 사용자의 행동과 태도를 바꾼다. 비합리적인 소비이고, 필요 이상의 불편함이 있더라도 사용자는 이를 감수하고 그 제품을 열정적으로 사용한다. 

3)UX/ UI 디자인의 차이점

 

  • UI: 사용자가 제품/ 서비스를 사용할 때 마주하게 되는 면. 따라서 UI 디자인은 폰트, 컬러, 레이아웃과 같이 사용자가 마주하게 될 시각적인 디자인
  • UX: 사용자 경험. 사용자가 어떠한 서비스/ 제품을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는 종합적인 만족. UX 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적으로 설계된 디자인.
    =>UX 디자인이란 사용자의 경험과 목표를 이해하고, 그것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UI를 디자인.

앞으로는 구글 머터리얼 디자인이라는 좋은 자료를 알게되어 UX/UI가 어떻게 해외 거래소 웹과 앱에 적용되어 있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면 좋을듯 합니다. 지속 안내드리겠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