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쉽게 쓰는 투자 이야기

[암호화폐 업계 현황] 암호화폐 브로커의 미래 본문

암호화폐 업계 현황

[암호화폐 업계 현황] 암호화폐 브로커의 미래

electronic trading 2022. 6. 13. 09:49

 

1970년을 기점으로 브로커들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금융 시장에서의 주요한 기관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투자은행/ 증권사 (브로커)가 기관고객에서 상대하는 것을 프라임 브로커리지로 명명하고, 각 브로커들은 유동성 공급, 수탁, 마진 거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원스탑 샵이 되고자 하는데요. 아래는 바이낸스 리서치에서 2020년에 발간한 전통 브로커리지 모델과 암호화폐 시장에현재 적용되는 브로커리지 모델의 현황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인사이트가 있는 자료라서 일부 번역하며 정리해보았습니다. 

https://research.binance.com/en/analysis/what-is-the-outlook-for-the-crypto-brokerage-industry

 

What is the Outlook for the Crypto Brokerage Industry? | Binance Research

Crypto brokers have grown to become one of the building blocks for institutions in crypto. Discover the state and the outlook for crypto brokerage.

research.binance.com


1.브로커 사업

1)전통 금융 시장에서의 브로커 사업
-거래소의 회원은 투자은행/ 증권사 (브로커)이며, 기관 투자자는 이들을 통해 주문을 제출해야 함.
-기관 투자자는 주문 제출을 통한 수수료 이외에도 적절한 금융 상품의 제공과 투자 컨설팅을 제공 받으며 이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게 되어있음. 

 

2)브로커사의 구분

  • 상품으로의 구분: 증권 브로커, 외환 브로커, 선물 브로커, 암호화폐 브로커/ 브로커 서비스 제공사
  • 사업 모델의 구분:
    -디스카운트 브로커 (체결 수수료를 적게 가져가며,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음 - 예: 로빈후드, 이트레이드)
    -풀서비스 브로커 (체결 수수료를 높게 책정하며, 컨설팅 서비스 제공 - 예: 메릴린치, 모건스탠리, UBS)
  • 파트너십의 구분:
    -Introducing Broker - 소개브로커 (브로커사에 클라이언트들을 소개하며 수수료 부과)
    -Non-Disclosed Broker (화이트라벨 솔루션을 공급 받아, 해당 솔루션이 제공하는 모든 것들을 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기술은 본인들이 만들지 않음)

3)프라임 브로커

  • 주요 제공 서비스 부문:
    -체결, 수탁, 정산, 가치 평가, 리스크 관리, 운영
    -포트폴리오 리포트/ 비즈니스 리포트
    -파생상품 설계
    -마진 거래
    -현금 관리
    -기술적 지원
    -리스크 컨설팅
  • 주요 수수료 부과 영역:
    -체결 수수료
    -수탁고, 정산 수수료
    -마진 거래 스프레드
    -자산 관리, 컨설팅 서비스 비용


4)암호화폐 시장 내에서의 브로커 사업

https://research.binance.com/en/analysis/what-is-the-outlook-for-the-crypto-brokerage-industry

 

  • 브로커가 제공하는 가치:
    -비용 절감:
    호가 통합: 호가가 통합(aggregate)되어 제공되므로, 시장 참여자 입장에서는 다른 마켓메이커를 찾아나설 필요 없음
    매칭 엔진: 시장 참여자가 매칭 엔진을 설계하지 않아도 됨
    지갑 인프라: 시장 참여자가 지갑 인프라 구축하지 않아도 됨
    -운영 리스크 감소:
    매칭 엔진를 내부적으로 생산하지 않아도 되므로 운영 리스크 감소
    리스크 관리 
    프로덕트 디자인: 브로커의 검증된 프로덕트에 의존
    -부가적 서비스
    매매 전략, 트레이딩 봇, 자산 관리
    프로덕트 혁신
  •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프라임 브로커
    -고객 니즈: 유동성, 금융 상품, 정산, 컴플라이언스
    -제품군: 금융 상품

현존하는 암호화폐 산업 내 프라임 브로커

전통 vs 암호화폐 프라임브로커 및 브로커서비스 제공사

 

2. 암호화폐 시장 내 브로커 케이스 스터디

1)코인베이스

  • 프라임 브로커리지 (Tagomi)
    -타겟 고객: 기관 (헤지펀드, 사모펀드, 암호화폐 펀드, 퀀트 펀드)
    -강점: BitLicense (보험 적용이 가능한 수탁 서비스)
    -서비스: 수탁, 렌딩, 매매
    -주요 고객: 패러다임, 판테라, 빗와이즈, 멀티코인 캐피탈
  • 브로커 서비스 제공사
    -타겟 고객: 핀테크사, 브로커, 은행
    -강점: BitLicense (보험 적용이 가능한 수탁 서비스)
    -서비스: 브로커 서비스
    -주요 고객: SoFi

2)팍소스

  • 브로커 서비스 제공사
    -타겟 고객: 결제 공급사, 자산 운용사, 은행, 핀테크사
    -강점: BitLicense, API, 수탁
    -서비스: 브로커 서비스 
    -주요 고객: 레볼루트, 페이팔

3)바이낸스

  • 브로커 서비스 제공사
    -타겟고객: 거래소, 지갑 공급사, 트레이딩 봇, 시장 데이터 플랫폼, 자산 운용사
    -강점: 유동성, 다양한 금융상품, 암호화폐 토종 서비스 (스테이킹, 온체인 서비스)
    -서비스: 매매, 업스트림/다운스트림 (렌딩, 자금 관리, 채굴, 결제), 수탁, 정산

3.암호화폐 브로커리지의 미래 트렌드

1)전통 브로커들이 제공하는 암호화폐 서비스
-전통 금융사들이 디지털 자산군 내 현물 시장 브로커리지 진입 중
2)암호화폐 프라임브로커 서비스의 다변화

-코인베이스, 비트고
-뮤추얼 펀드, 헤지펀드 타겟팅
3)컴플라이언스
-핀테크사 컴플라이언스 요건 확충 후 대거 진입 가능
-라이센싱이 잘 되어있어 관할권 이슈는 없으나, CFD 제공사 (로빈후드, 이토로 등)의 상품은 슬리피지, 스프레드, 가격 등의 면에서 경쟁적이지 않음.
-브로커리지 서비스 제공사들은 컴플라이언스 강화에 초점 

Comments